Gasa (a hybrid genre of verse and prose) on travel by Kim, In-Gyeom(金仁謙, 1707-1772). This is the only Korean Gasa on travel to Japan. Kim was from the Andong Kim clan. His courtesy name is Sa-An(士安) and penname is Toi-Seok(退石). He passed Samasi public post examination and appointed as Jinsa post at the age of 47 in 1753. Kim was appointed as a transcriber of Tongshinsa’s Jongsagwan in 1763, and visited Japan. Considering that those who passed the literary major of the public post examination were usually appointed as transcribers, Kim’s appointment was unusual because he is from Jinsa post (military major). That would be because although he was living in Gongju, not capital city, he was a great-great-grandson of Kim, Sang-Heon(金尙憲) and from the Changdong Kim clan, one of the most powerful family. His appointment was upon recommendation of Lee, Deuk-Bae(李得培, 1715-1774) who was appointed as Jongsagwan post at that time. Even after Hong, Nak-In(洪樂仁, 1729-1777) succeeded Lee, and Kim, Sang-Il(金相翊, 1721-?) succeeded Hong, Kim, In-Gyeom remained in his transcriber position, so he could visit Japan again.
『Ildongchangyuga』 is a long literature spanning 8,243 phrases on Kim’s experien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from Hanyang on August 3 to return to his home country in July 8 of the following year. Rather than events in the public sphere, he mostly left stories intended to show bold personality as a household head in the literature, along with introduction of intriguing and unique Japanese culture. He did not spare exaggerations and emotional word choices and introduced Japan’s foreign cultures mainly to invoke amusement. Another characteristic of this literature is that this book was written for women readers who cannot read Chinese letters. Therefore, it was written in Hangeul, Korean alphabet and mainly for casual reading. All of these make 『Ildongchangyuga』 unconventional in its content and format compared to other typical envoy journa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Ildongchangyuga』 is an intriguing literature showing that stories and formats of envoy visit records can diverge notably based on their target readers and used languages.(en)
김인겸(金仁謙, 1707-1772)이 지은 기행가사(紀行歌辭)로, 일본 사행을 노래한 유일한 국문가사이다. 김인겸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안(士安), 호는 퇴석(退石)이다. 1753년 47세 때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763년 통신사 종사관(從事官)의 서기(書記)로 임명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문과에 급제한 사람을 뽑아 보내는 서기에 진사의 신분으로 임명된 것은 이례적이다. 지방인 공주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김상헌(金尙憲)의 현손으로서 경화세족인 장동 김문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종사관에 임명되었던 이득배(李得培, 1715-1774)의 추천으로 임명되었고, 후에 종사관이 홍낙인(洪樂仁, 1729-1777)으로, 홍낙인에서 다시 김상익(金相翊, 1721-?)으로 바뀌었으나 서기는 바꾸지 않아 그대로 사행에 참여하였다.
『일동장유가』는 8,243구에 달하는 장편가사로, 8월 3일 한양을 출발하여 이듬해 7월 8일 복명할 때까지의 여정에 따라 경험을 기술한 것이다. 사행 과정의 공적인 일보다는 가장(家長)의 당당한 면모를 드러낼 수 있는 일화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흥미를 유발할 만한 일본 풍속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과장된 표현과 감정적인 어휘를 주저 없이 사용하고 일본의 이국적인 풍속을 흥미 위주로 그려내는 특징을 보인다. 이 작품은 독자를 한문을 모르는 부녀자 가족으로 상정하여 표기수단을 한글로 선택하였고, 파적(破寂)을 위한 흥미로운 읽을거리를 만드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한문으로 기록되는 일반적인 사행일기에 비해 내용과 형식이 매우 파격적이다. 『일동장유가』는 독자로 상정한 계층과 표기수단에 따라 사행록이 다루는 내용과 형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문헌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