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ook on courtesy for scholars, women, and children. This book was published in 1775 (Yeongjo 51) by Lee, Deuk-Mu (李德懋, 1741〜1793), a scholar in the later Joseon to teach everyday courtesy which should be followed by scholars, women, and children. A total of 624 articles are recorded in 8 volumes: 5 volumes titled ‘Courtesy for Scholars’; 2 volumes titled ‘Courtesy for Women’; and 1 volume titled ‘Discipline for Children’. This is also included in his anthology 『Cheungjanggwanjeonseo』.
“So-Jeol” means basic courtesy. Lee quoted 『the Book of Document(書經)』 saying that “When you are careless with a small demeanor, you eventually spoil a big demeanor,” and mentioned his intention of publishing this book is to educate home courtesies.
A chapter on women courtesy has 205 articles grouped into 8 subtitles: personality, conduct, language, clothing and food, manner, education, human duties, ancestral rites, and miscellaneous.
What is worthy of noticing is that he mentioned it is okay for a wife, even a scholar’s wife, to be a breadwinner if her family is financially strapped. He encouraged such wives to earn income by weaving, silk forming, raising ducks and chickens, and selling sauces, cooking oils, and fruits. Also he advised to shy away from story books, and instead encouraged to read sculptures and history books and learn history of one’s own family. Encouraging women labor and recognizing general knowledge reflect change of time.(en)
1775년(영조 51) 조선 후기 학자 이덕무(李德懋, 1741〜1793)가 선비, 여성, 아동이 알아야 할 생활 예절을 가르치기 위해서 펴낸 책이다. 전체 8편으로 사전(士典) 5편, 부의(婦儀) 2편, 동규(童規) 1편이며, 총 924조항으로 이뤄졌다. 이덕무의 글모음집인 『청장관전서』 에도 들어 있다.
‘소절’이란 소소한 예절이라는 의미다. 이덕무는 “조그만 행실을 조심하지 않으면 마침내 큰 행실을 잘못되게 만든다.”라는 『서경(書經)』의 말을 인용하면서 그저 가정에서 지켜야 할 예절을 알려주기 위해 이 책을 펴냈다고 한다.
이 중 여성 예절인 ‘부의’는 총 205조항으로 소제목 8개로 구성되었다. 성품과 행실[性行], 언어, 의복과 음식[服食], 행동거지[動止], 교육,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人倫], 제사, 여러 사항들[事物]이다.
이 책에서 주목할 사항은 가계가 궁핍하면 선비 아내라도 살아갈 도리를 위해 일을 해도 괜찮다고 한 점이다. 길쌈과 누에는 기본이며, 닭과 오리를 치고 장, 기름, 각종 과일 등을 때에 맞춰 내다팔게 했다. 또 이야기책은 멀리하되, 경전과 역사서를 읽고 조상 계보 등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여성 노동을 중시하고 교양 지식을 인정한 이 대목은 시대 변화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