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t Asia Digital Library

  • image07
  • image08
  • image09
  • image02
  • image03
  • image04
  • image05
  • image06
Title
Creator
Publisher

Gwanyeongjoseoninraejogwon

Titledcterms:title
寬永朝鮮人來朝卷
Publisherdc:publisher
[刊寫者未詳]
Issueddcterms:issued
1649
URI
eadl:DM-NLKKOL000024011

Abstract

  • Scroll painting of Tongshinsa march painted by a Japanese painter. Its box reads “寬永朝鮮人來朝卷”. “Kan'ei (寬永)” herein is the Japanese era spanning from 1624 to 1643. It is conjectured that among three Tongshinsa visits made during the era, the last visit in 1624 is described in this painting. The envoy visit’s purpose was to celebrate the Tokugawa shogunate’s shogun, Tokugawa Ieyasu’s enthronement. Tongshinsa corps left Busan on September 28, 1624 and came back on March 13, the following year. In the painting, Jungsa, Busa, and Jongsagwan officials are moving in palanquins in formal suits. Taking note of those, this painting seemed to describe Tongshinsa’s march to the Edo castle to deliver royal documents. There is no Japanese escort. A Joseon commander leads the parade, followed by three officials and three chief translators in the last row. There is no working-level staffs such as Sangpansa(上判事) and Banjeonjik(盤纏直). Considering that almost 300 people marched from Osaka to Edo, this painting did not describe the entirety of the scene. Also, compared to the painting of Tongshinsa march in 1711, march arrangement and clothing are different, and most Joseon people are walking on passenger’s road. This corroborates that the Tongshinsa parade in the painting predates the 1682 Tongshinsa visit. 『寬永朝鮮人來朝卷』 is a valuable document that shows Tongshinsa in the 17th century. It was listed on the UNESCO's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register in 2017.(en)

    일본인이 그린 통신사 행렬 그림으로, 권자본(卷子本)이다. 두루마리를 넣은 상자에 “寬永朝鮮人來朝卷”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寬永”은 1624년부터 1643년까지 쓰인 연호로, 이 시기 세 차례의 사행이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1624년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의 행차를 그린 것으로 추정한다. 1624년 갑자사행은 세 번째 회답겸쇄환사의 사행으로, 에도막부의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624년 9월 28일 부산을 출발하여 이듬해 3월 13일 돌아왔다. 정사, 부사, 종사관이 관복을 갖춰 입고 평교(平轎)를 탄 것으로 보아 국서 전달을 위해 에도성에 가는 행렬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앞을 인도하는 일본인 호행이 없이 조선인 사령이 제일 먼저 나오고 세 사신에 이어 세 명의 수역(首譯)에서 그쳐서 상판사(上判事), 반전직(盤纏直) 등 사행 실무를 담당한 사행원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당시 삼백여 명의 사행원이 오사카에서 에도로 향했던 점을 고려하면 완전한 행렬도가 남은 것은 아닌 듯하다. 또한 1711년 행렬도권과 비교하여 복식과 행렬 순서가 조금씩 다르고 상당수의 조선인이 도보로 이동하고 있다. 사행원역이 확정된 1682년 사행보다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행렬임은 분명하다. 『寬永朝鮮人來朝卷』은 17세기에 파견된 사행단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목록에 포함되었다.

Metadata

Titledcterms:title
Gwanyeongjoseoninraejogwon(en) , 관영조선인래조권(ko) , 寬永朝鮮人來朝卷
Publisherdc:publisher
[刊寫者未詳]
Issueddcterms:issued
1649
Alternativedcterms:alternative
관영조선인래조권(ko)
Publication Placeeadl:publicationPlace
[刊寫地未詳]
Datedcterms:date
[仁祖年間(1623-1649)]
Subjectdc:subject
관영조선인래조권
Audienceschema:audience
PU
Data Providereadl:dataProvider
National Library of Korea(en) , 국립중앙도서관
Provided Ineadl:providedIn
Korea
Holding Agenteadl:holdingAgent
National Library of Korea(en) , 국립중앙도서관
Extenteadl:extent
1圖卷;31.8 x 984.2 cm
sameAsowl:sameAs
http://lod.nl.go.kr/resource/KOL000024011
Thumbnailfoaf:thumbnail
http://eadl.asia/home/digitalimage/korea/KOL000024011/00000001.jpg
Categoryschema:category
http://eadl.asia/collection/NLK_Painting_of_Parade , http://eadl.asia/collection/NLK_Joseon_missions_to_Japan_Joseon_Tongsinsa , http://eadl.asia/collection/KoreaCollection
Labelrdfs:label
Gwanyeongjoseoninraejogwon(en) , 관영조선인래조권(ko) , 寬永朝鮮人來朝卷
Digitizedeadl:digitized
eadl:DM-NLKKOL000024011_DO

Related Digital Collection(3)

Related Digital Material(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