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t Asia Digital Library

  • image07
  • image08
  • image09
  • image02
  • image03
  • image04
  • image05
  • image06
Title
Creator
Publisher

Ilgwanyogo

Titledcterms:title
日觀考要 : 附錄
Creatordc:creator
申維翰(朝鮮) 著, 신유한
Publisherdc:publisher
[刊寫者未詳]
URI
eadl:DM-NLKKOL000024099

Abstract

  • Transcribed copy of 『Ilgwanyogo(日觀要考)』, a literature on what Tongshinsa envoys should be cautious about in diplomacy with Japan. Juma Jun(中馬潤) transcribed it and added appendixes. Some items are excerpts from Tongshinsa writer Shin, Yoo-Han(申維翰, 1681-1752)’s 『Record of Ocean Voyage(海游錄)』 in 1719. It seemed that someone among Tongshinsa envoys summarized the book and carried it during the 1747 envoy visit. 『Ilgwanyogo』is a rare literature which was spread despite a strict regulation on access to travel logs written by Joseon people. As of now, 14 surviving copies were identified, which indicates wide readership of this text. The transcription shows that 13 out of the 14 copies are retranscription of 1777 copies transcribed by either Ota Nanpo(大田南畝, 1749-1823) or Okada Shinsen (岡田新川, 1737-1799), and their original traces back to 松枝善右衛’s possession which was obtained during the 1748 Tongshinsa visi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ollection is a transcribed copy from a different genealogy. Tongshinsa writer Nam, Ok(南玉, 1722-1770) recorded in 『Record of Visit to Japan(日觀記)』 that 『Ilgwanyogo』 went missing on April 3, 1764. Juma Jun’s preface implies that the lost copy was transcribed and distributed across Japan. He recorded he read the transcribed copy, retranscribed it in 1809, and added an appendix to the retranscribed copy. Its appendix has the list of the 1747 Tongshinsa envoys, sealed addenda letters, government documents between Joseon and Japan, excerpts from Hayashi Shiheyi(林子平)’s 『Brief Record on Joseon(朝鮮略記)』 on Joseon’s eight provinces, and “Chinese Letters in Joseon(朝鮮國字)”, a work from his own research. It was conjectured in the text that the record was written by Tongshinsa writer Shin. This is a compelling evidence that Japan envoy guide was passed onto Japan, and used in Japan by ad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Joseon.(en)

    통신사 사행원이 일본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만한 사항을 정리하여 놓은 문헌인 『일관요고(日觀要考)』를 나카지마 준(中馬潤)이 필사하고 부록을 붙인 책이다. 몇 개의 항목은 1719년 제술관 신유한(申維翰, 1681-1752)의 『해유록(海游錄)』에서 초록한 것이다. 1747년 파견된 통신사 사행원 가운데 누군가가 정리하여 지참한 것으로 보인다. 『일관요고』는 조선인의 사행기록이 일본에 유출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던 상황에서, 의도치 않게 유전된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현재 14종의 이본이 확인될 만큼 일본 내에서 널리 필사되어 읽혔던 것으로 보인다. 필사기를 보면 13종은 1777년 오타 난포(大田南畝, 1749-1823)나 오카다 신센(岡田新川, 1737-1799)이 필사한 것을 재필사한 것으로, 1748년 통신사행 때 松枝善右衛가 습득한 것을 저본으로 한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이와 계통이 다른 필사본이다. 제술관 남옥(南玉, 1722-1770)의 『일관기(日觀記)』에는 1764년 4월 3일 지참했던 『일관요고』를 잃어버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나카지마 준의 서문을 보면 아마도 이것을 저본으로 하여 필사된 것이 일본 내에 유포된 듯하다. 나카지마 준은 필사본을 읽어보고 1809년 재필사하고 「附錄」을 붙였다고 하였다. 부록에는 1747년 사행원의 명단과 별폭과 서계, 그리고 하야시 시헤이(林子平)의 『조선약기(朝鮮略記)』 가운데 조선팔도에 관한 부분을 초록한 것과 직접 조사한 “朝鮮國字”를 실었다. 또 이 기록을 신유한이 쓴 것이라 추단하였다. 조선에서 작성한 일본 사행 지침서가 일본으로 유전되어 조선에 관한 정보가 덧붙여져 활용되는 면모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Metadata

Titledcterms:title
Ilgwanyogo(en) , 일관요고: 부록(ko) , 日觀考要 : 附錄
Creatordc:creator
申維翰(朝鮮) 著, 신유한(ko)
Publisherdc:publisher
[刊寫者未詳]
Alternativedcterms:alternative
일관요고(ko)
Publication Placeeadl:publicationPlace
[刊寫地未詳]
Datedcterms:date
[刊寫年未詳]
Languagedc:language
chi
Data Providereadl:dataProvider
National Library of Korea(en) , 국립중앙도서관
Provided Ineadl:providedIn
Korea
Holding Agenteadl:holdingAgent
National Library of Korea(en) , 국립중앙도서관
Extenteadl:extent
1冊(24張); 27.4 x 19.0 cm
sameAsowl:sameAs
http://lod.nl.go.kr/resource/KOL000024099
Thumbnailfoaf:thumbnail
http://eadl.asia/home/digitalimage/korea/KOL000024099/00000001.jpg
Categoryschema:category
http://eadl.asia/collection/NLK_Joseon_missions_to_Japan_Joseon_Tongsinsa , http://eadl.asia/collection/KoreaCollection , http://eadl.asia/collection/NLK_Japans_Study_of_Joseon
Labelrdfs:label
Ilgwanyogo(en) , 일관요고: 부록(ko) , 日觀考要 : 附錄
Digitizedeadl:digitized
eadl:DM-NLKKOL000024099_DO

Related Digital Collection(3)

Related Digital Material(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