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llection compiled in 1758 (Yeongjo 34) of government documents on the construction of a stone monument and its house at Queen Inyeol’s birthplace, Joseon’s 16th king Injo’s wife.
“Dengrok” means transcribing. As it was before the invention of a copy machine, ancestors transcribed documents to retain them. Its cover reads “Facts on Epitaph Construction(戊寅建碑事實)” Initially there was no sign for the queen’s birthplace in Wonju but upon the recommendation from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Yejo), Hong, Sang-Han, the government purchased the site and constructed a stone monument, along with a house to protect the monument. King Yeongjo himself wrote “Epitaph to Honor Queen Inyeol’s birthplace(仁烈王后誕生故基碑文)\".
In this compilation, there are a total of 38 records documented from November 26, 1758 to March 2, 1759 among multiple departments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which include Gangwondo Gamyoung(Gangreung), Gyoseugwan, Sunhyecheung (government agency in charge of collecting taxes), Hojo (Finance Ministry), and officials in Wonju, Pyenghae, and Uljin. Financing property purchase and construction budgets, procuring construction materials, securing artisans, and awards to be granted to thos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after the construction’s completion were discussed.
Not extensive though, it has its value as a document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chronological records. Most of all, it implies how much Joseon valued recording. This collection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thought to be the only surviving copy.(en)
1758년(영조 34)에 조선의 제16대 국왕 인조의 비 인렬 왕후(仁烈王后, 1594~1635)의 탄생지에 비석과 비각을 건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공문서를 정리해둔 책이다.
‘등록’은 문서를 베낀다는 뜻이다. 오늘날처럼 복사기가 없었으므로 문서 보존을 위해 베껴서 정리했던 것이다. 겉표지에는 ‘무인건비사실(戊寅建碑事實)’이라 되어 있다.
본래 원주에는 탄생지를 나타내는 표식이 없었으나 예조 판서 홍상한의 건의로 그 옛터를 매입하여 비석을 세우고 비석을 보호하기 위한 비각을 지었다. 영조가 직접 ‘인렬 왕후 탄생 고기 비문(仁烈王后誕生故基碑文)’을 지었다.
이 등록에는 1758년 11월 26일부터 1759년 3월 초2일까지 예조와 여러 부서에서 주고받은 문서 총 38개가 들어 있다. 예조와 문서를 주고받은 곳은 강원도 감영(강릉), 교서관, 선혜청, 호조, 원주 목시, 평해 군수, 울진 현령 등이다.
주요 내용은 비석과 비각을 세울 장소인 탄생지 옛터 매입을 위한 비용 마련, 비석과 비각에 들어갈 각종 물자 마련, 일에 투입할 공장(工匠) 확보, 공사 완료 후 종사자들에게 지급할 상(賞) 등과 관한 것들이다.
분량은 많지 않지만 연대기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는 등록 자료만의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조선 왕조가 얼마나 기록을 중시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유일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