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ction of written correspondences between Japanese and Joseon people exchanged in Tongshinsa’s envoy visit to Japan in 1719. Seo Koretaka(瀨尾維賢, 1691-1728), who already compiled 『Gyelimchanghwajib(鷄林唱和集)』 in 1711, a large and extensive collection of written correspondences of Tongshinsa visits, collected written correspondences and published this literature in Geibunkan (奎文館), Kyoto.
There are 11 volumes and 11 chapters. It starts with 前田時棟父’s introduction, 「列朝韓使來聘考」, 「韓使官職姓名」, 「Table of Contents」, and 「Explanatory Note」. Togu(東武) and Bishu(尾州) (Chapter 1), Bishu(尾州) (Chapter 2), Noshu(濃州) (Chapter 3 and 4), 浪華 (Chatper 7), Bingo Province(備後州), Boshu(防州) (Chapter 8 and 9), and Collections (Chapter 11) were added later to those chapters. Correspondence records were compiled by the order of Tongshinsa’s itinerary from Edo to Tsushima Island, and records collected after the compilation are placed in the Chapter 11, Collection. Compared to 1711 『Gyelimchanghwajib』, this literature is in a more refined format, but in a smaller volume, with less participating Japanese scholars. It would be perhaps because as more and more Japanese scholars started collecting written correspondences on their own, less records were left available for Seo Koretaka’s collection. This could also be explained by the absence of correspondences from the Rinke(林家), a national school of Japanese philosophy during the Edo Bakufu. Even so, poems of Anahina Bunen(朝比奈文淵), Kinoshita Ranko(木下蘭皐), and other poets were included, which tells us how Japanese poetry was introduced to Joseon.
Another surviving copy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Archives of Japan has only 8 volumes and 8 chapters. The collection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the only surviving copy having the entire volumes and chapters. It was previously housed in the Domyoka Library(富崗文庫), and later sold to the General-Governor of Korea through Asakuraya(淺倉屋), a bookstore in Tokyo, in 1938 bidding(入札會).(en)
1719년 통신사가 일본에 갔을 때 이루어진 필담창화를, 세오 고레카타(瀨尾維賢, 1691-1728)가 수집하여 교토의 게이분칸(奎文館)에서 간행한 책이다. 세오 고레카타는 1711년 거질의 필담창화집인 『계림창화집(鷄林唱和集)』을 출판한 바 있다.
『계림창화집』은 11권 11책으로 이루어져있다. 권두에 前田時棟父의 서문, 「列朝韓使來聘考」, 「韓使官職姓名」, 「目次」, 「凡例」가 실려 있고, 권1은 東武 · 尾州, 권2는 尾州, 권3-권4는 濃州, 권7은 浪華, 권8-권9는 備後州 · 防州, 권11은 補遺라는 부기가 붙어 있다. 에도에서부터 쓰시마까지 여정에 따라 편집되어 있고, 후에 수집된 것은 보유편에 실었다. 1711년 『鷄林唱和集』에 비해 훨씬 정제된 체재를 갖추고 있으나, 분량은 감소하였다. 참여한 일본문사가 적어진 이유는 개별적인 필담창화집을 편집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세오 고레카타가 수집할 수 있는 원고가 줄어들었기 때문인 듯하다. 에도막부의 국학(國學) 역할을 해오던 린케(林家)의 필담창화가 빠져 있는 것 역시 이러한 정황을 반영한다. 그러나 아사히나 분엔(朝比奈文淵), 기노시타 란코(木下蘭皐)와 같은 시인들의 시가 실려 있어, 조선에 일본시가 어떻게 소개되었는지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일본의 국립공문서관에도 1종이 소장되어 있으나 8권8책만이 남아있는 결락본이고,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 완질로 현전하는 선본이라 할 수 있다. 본래 도미오카문고(富崗文庫)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1938년 입찰회(入札會) 때 도쿄의 서점 아사쿠라야(淺倉屋)를 통해 조선총독부에서 낙찰 받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