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correspondence records between Japanese and Joseon people amid Tongshinsa visit to Japan in 1682 were collected in Chojiya(丁子屋), Kyogo(京都) and published into 7-volume literature. 39 Japanese’ signatures are listed in volume 1’s introduction, under 「List of Collection of Communications with Joseon(和韓唱酬集目錄)」 section. This is followed by a collection of correspondences and poems written and exchanged in Kyoto, Edo, and Yodo. Written correspondences and poems shared in Osaka are in Chapter 1, Volume 1; those in Osaka, Kyoto, and Ushimado are in Chapter 2, Volume 1. There is no specific order for chapters, just based on the time of collection. Chapter 1, Volume 2, ‘Written Languages in Nishikyō-ku, Kyoto(西京筆語)’ and Chapter 2, Volume 2, ‘Written Languages in Tohto (東都筆語)’ have writings and poems exchanged between Yanigawa Shintaku(柳川震澤, 1650-1690) in Kyoto with Joseon literary officials. In Volume 3, there are letters Yanigawa Shintaku exchanged with Joseon scholars. In Volume 4, there are \"Record on Officials from the East(東使紀事)\", an observation made and recorded by Itazaka Bansetsusai in Iwakuni Domain(岩國藩), and “Correspondence from Two Countries in the East(兩東唱和)” on communication in Edo between Joseon literary officials and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nd a list of Tongshinsa translators.
The 1682 envoy visit was the first visit which brought government writers in charge of written correspondences with Japanese officials. That was to meet Japan’s request for officials in charge of literatures and documents. This literature is a large and extensive collection of written records obtained from all across Japan, which became an archetype of correspondence collections published afterwards. It is the evidence of then Japan’s growing community in charge of Chinese literatures, as well as their embracement of Joseon people as well as critical voices.
The copy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 valuable historic record as it has the entire chapters.(en)
1682년 통신사의 일본 여정 중 일본인이 조선인과 나눈 필담창화 기록을 교토(京都)의 조지야(丁子屋)에서 수집하여 7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수권(首卷)의 권두에는 「화한창수집목록(和韓唱酬集目錄)」 하에 39인의 일본인 성명이 나열되어 있다. 이어 교토, 에도, 요도(淀)에서 이루어진 필담과 창화시가 실려 있다. 일지일권(一之一卷)은 오사카(大坂), 일지이권(一之二卷)은 오사카, 교토, 우시마도(牛窓)에서의 필담 및 창화시이다. 편차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고 수집된 순서대로 편집되었다. 이지일권(二之一卷)의 “서경필어(西京筆語)”와 이지이권(二之二卷)의 “동도필어(東都筆語)”는 교토의 야나가와 신타쿠(柳川震澤, 1650-1690)가 조선문사를 만나 나눈 필담 및 창화시이다. 삼권(三卷)에는 야나가와 신타쿠가 조선 문사들과 주고받은 서한(書翰)이 실려 있다. 사권(四卷)은 이와쿠니번(岩國藩)의 이타자카 반세쓰사이(板坂晩節齋)가 조선 문사들을 만나 관찰한 기록인 “동도기사(東使紀事)”, 통신사 원역의 명단, 에도에서 조선문사들과 만나 창화한 기록인 “양동창화(兩東唱和)”로 구성되어 있다.
1682년에는 일본문사와의 필담창화를 전담하는 제술관(製述官)이 처음 파견된 사행이다. 일본 측의 문사(文詞)에 대한 욕구를 조선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였다. 『화한창수집』은 일본 전역에서 이루어진 필담창화를 수집하여 출간한 거질의 필담창화집으로, 이후 출간된 필담창화집의 전형이 된 중요한 문헌이다. 당시 성장 중인 일본 한문담당층의 면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로, 조선인에 대한 우호적인 면 뿐 아니라 일본 문사 내면에 존재하는 비판적인 의식도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본은 완질로서, 자료적 가치 역시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