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edongcegukki』, by Shin, Suk-Ju(申叔舟, 1417-1475) in 1471, contain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eastern countries beyond the sea, including their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nvoy and diplomatic protocols. Countries on the eastern sea (Haedongceguk in Korean) herein refer to countries and the Ryukyu Kingdom situated across the Japanese Archipelago. This literature describes Japan when it was divided and ruled by the emperor, the Ashikaga shogunate, and powerful family clans. Under the King Seojong’s order, Shin visited Ashikaga shogunate in 1443, and his experience became the base of this literature.
『Haedongcegukki』’s original copy begins with a preface and an explanatory note, followed by 7 maps (Map of Haedongguks (海東諸國總圖), Map of Japan (日本本國圖), Map of Provinces in the West of Japan (日本國西海道九州圖), Map of Ikinoshima, Japan (日本國一岐島圖), Map of Japan Tushima Island(日本國對馬島圖), and Map of the Ryukyu Kingdom(琉球國圖), etc.). Japan’s Spirit(日本國紀), the Ryukyu Kingdom’s Spirit(琉球國紀), and Record of Diplomacy and Hospitality for China (朝聘應接紀) are also included. This literature encompasses diplomatic protocols Joseon defined after its foundation, and it was used as geography reference and diplomatic protocol reference for diplomatic affairs with Japan even after the Edo Bakufu's establishment. This literature was passed over to Japan, and its several versions still exist.
『Haedongcegukki』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has 5 chapters printed in Gab-in typeface, which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reprinted copies. It contains a brief description of Japan(日本國), Tushima Island(對馬島), Ikinoshima(一岐島), and the Ryukyu Kingdom(流球國) among the countrie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his indicates that 『Haedongcegukki』 was published as a fascicle copy or an excerpted copy in any fashion as needed.(en)
『해동제국기』는 1471년 신숙주(申叔舟, 1417-1475)가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해동제국의 역사, 지세, 문물 등의 전반적인 정보를 정리하고 사신 파견 및 접대 등의 외교 의례를 규정해놓은 책이다. 여기에서 “해동제국”이란 조선을 기준으로 바다 동쪽에 있는 여러 나라, 즉 일본 열도에 있는 각국과 유구국을 가리킨다. 천황, 무로마치 막부, 각 지역의 토호가 지역을 나누어 점거하고 있던 당시 일본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1443년 세종의 명을 받고 무로마치 막부에 사신으로 다녀온 신숙주의 실제 경험이 토대가 되었다.
본래 『해동제국기』는 권두에 서문과 범례가 있고, 이어 해동제국총도(海東諸國總圖) · 일본본국도(日本本國圖) · 일본국서해도구주도(日本國西海道九州圖) · 일본국일기도도(日本國一岐島圖) · 일본국대마도도(日本國對馬島圖) · 유구국도(琉球國圖) 등 7장의 지도와 일본국기(日本國紀) · 유구국기(琉球國紀) · 조빙응접기(朝聘應接紀)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건국 후 성립된 교린체제에 관한 제 규례를 집대성한 것으로, 에도막부 성립 후에도 일본 지리지 및 외교 전례의 전례로 활용되었다. 일본에도 유전되어 여러 종의 간본이 남아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해동제국기』는 갑인자로 인쇄된 5장본으로, 여타 『해동제국기』 판본과는 매우 다르다. 해동제국 가운데 일본국(日本國), 대마도(對馬島), 일기국(一岐島), 유구국(流球國)에 관한 내용이 초록되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동제국기』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책되거나 초록되어온 일면을 보여주는 사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