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 of face reading of Joseon people by Niyama Daiho(新山退甫, 1723-1775) who met with the Joseon envoy and read their face in 1764. This record was printed in Osaka. Face reading, physiognomy, was spread from Nagasaki to Kyoto during Kyōhō (享保, 1716-1736) by Gwak, Ong(郭翁). Niyama, his successor, was previously Hanshi (military official) in Sendai(仙臺) but later worked as a face reader in Kyoto and Osaka. When the Joseon envoy arrived in Osaka in the following January after their departure in 1763, Niyama met them and read Tongshinsa captains’ faces who remained in Osaka in March, and lower-level staffs’ faces who returned from Edo in April.
In this book, there are 3 prefaces authored Okada Hakku(岡田白駒), Tsuyama Nanto(陶山南濤), and Akutagawa Tankyu(芥川丹丘); 「Sanggampilhwa(相鑒筆話)」 on face-reading by Niyama’s disciple Hayashi Doan(林東菴); 「Insangpilhwa(人相筆話)」, a collection written correspondences of Niyama’s face reading; 「Joseon Visitors’ Appearances(韓客形容)」, paintings of Tongshinsa figures painted by Niyama’s disciple Abemaki Mato(棈馬東); 「General Discussion on Joseon People(韓人通論)」, a general theory of reading of Joseon people’s faces; 「Explanation on Facial Features(部位各目解)」 on names and explanation of facial features; and 「Name of Disciples (門人姓名)」, a list of Niyama’s disciples.
『Joseon Visitors’ Facial Appearance』 is the only collection of correspondences written by face readers. Niyama had a strong curiosity about foreigners’ faces, so he enthusiastically met Tongshinsa envoys and observed their faces closely. The portraits in this collection are incredibly precise, such as those of Jungsa, Busas, Jongsagwans, doctors, painters, translators, military officers, and others. Also, differences in face features and bone structures between Joseon people and Japanese people recorded herein are surprisingly detailed. This literature has a great value as a record of daily life and culture of that time.(en)
1764년 니야마 다이호(新山退甫, 1723-1775)가 통신사를 만나 관상을 본 기록을 오사카에서 출판한 것이다. 일본의 관상술은 교호(享保, 1716-1736) 연간 곽옹(郭翁)이라는 인물이 나가사키에서 교토로 전파시켰는데, 니야마가 그를 계승하였다고 한다. 본래 센다이(仙臺)의 번사(藩士) 출신이나, 교토와 오사카에서 관상을 보는 일에 종사하였다. 1763년 파견된 통신사 일행이 이듬해 1월에 오사카에 도착하자, 니야마가 방문하여 사행원들의 관상을 보았다. 또 3월에 오사카에 잔류하고 있던 사행원 일행을 찾아 선장들의 관상을 보았고, 4월 사행단이 에도에서 돌아오자 사신 이하 사행원들의 관상을 보았다.
『한객인상필어』는 오카다 핫쿠(岡田白駒) ‧ 스야마 난토(陶山南濤) ‧ 아쿠타가와 단큐(芥川丹丘)가 지은 3편의 서문과, 니야마의 제자 하야시 도안(林東菴)이 관상을 본 「상감필화(相鑒筆話)」, 니야마가 관상을 보며 나눈 필담인 「인상필화(人相筆話)」와 제자 棈馬東가 사행원의 얼굴을 그린 「韓客形容」, 조선인의 관상에 대한 통론인 한인통론「(韓人通論)」, 부위 명칭 해설인 「부위각목해(部位各目解)」 및 니야마의 제자 명단인 「문인성명(門人姓名)」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객인상필화』는 관상가의 필담집으로는 유일하다. 외국인의 관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니야마는 적극적으로 사행원을 만났고, 상세하게 관찰을 하였다. 특히 정사, 부사, 종사관, 의원, 화원, 역관, 군관 등의 초상을 세밀하게 그려놓았고,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상과 골격 차이도 상세히 비교해 놓았다. 생활사와 풍속사 측면에서도 가치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