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terms:abstract
|
-
1764년 야마다 도난(山田圖南, 1749-1787)이 에도에서 통신사 사행원들을 만나 나눈 필담과 창화시를 기록한 책이다. 야마다 도난은 대대로 막부의 의관을 지낸 집안 출신으로, 의학관(醫學館)에서 상한론(傷寒論)을 강의하였다. 후에 상한론 연구자의 필독서라 일컬어지는 『상한론집성(傷寒論集成)』을 저술하였다. 통신사 일행을 만났을 때는 불과 16세의 나이였으나, 상당한 한문 실력을 갖추고 즉석에서 필담을 나눌 수 있었다.
『상한필어』는 이나가키 나가아키(稲垣長章, 1695-1777)과 의관 村岡彭의 서문이 실려 있고, 1764년 2월 23일, 24일, 28일, 3월 5일, 8일에 걸쳐 이루어진 창화시와 필담을 시간 순서에 따라 실었다. 그는 양의(良醫) 이좌국(李佐國, 1733-?) 등을 만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약물과 중국 의서에 나오는 학설, 인삼의 제법, 병증의 치료법 등 의술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을 하였고, 이좌국에게 자신의 책인 『골도변오(骨度辨誤)』의 서문을 부탁하기도 하였다. 또 제술관(製述官) 남옥(南玉, 1722-1770) 등을 만나 시문 창화를 하고 양국의 물명(物名), 복식, 지리 등 다양한 주제로 필담을 나누었다. 또 한글을 써달라고 요청해 남옥이 써주기도 하였다. 통신사 관소의 엄격한 통제로 인해 이처럼 여러 차례 드나들면서 자유롭게 필담을 나눈 경우는 흔치 않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상한필어』는 에도의 상고당(尙古堂)에서 1764년 출간한 본을 베낀 것이다. 정교하게 그대로 본을 떠서 간본과 차이가 없다. 언제 누가 베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야마다 도난의 필담이 널리 읽혔음을 알려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xsd:string)
-
Record of written correspondences and poems Tonan Yamada(山田圖南, 1749-1787) exchanged with Tongshinsa envoys in 1764, Edo. He came from a family of royal doctors and he also was a lecturer on cold-related medical conditions at a medical college. In his later life, he wrote 『Sanghanrongipsung(傷寒論集成)』, a must-read for those who study cold-related illnesses. He met Tongshinsa at an early age of 16 but could communicate with Joseon people by writing on the spot, thanks to his outstanding knowledge in Chinese letters.
『Sanghanpiluh』 has prefaces written by Inagaki Nagaaki(稲垣長章, 1695-1777) and doctor Muraoka Ho(村岡彭). Poems and written correspondences exchanged on Feb 23, Feb 24, Feb 28, Mar 5, and March 8 in 1764 are placed in the order of time. He met an eminent doctor Lee, Jua-Gook(李佐國, 1733-?) and asked many questions on medical practices including medicines recorded in 『Exemplar of Korean medicine(東醫寶鑑)』, theories mentioned in Chinese medical texts, ginseng prescription, cures of some illnesses, and others. Also Yamada asked Lee to write a preface for his book 『Goldobyunoh(骨度辨誤)』. He also met Tongshinsa writer Nam, Ok(南玉, 1722-1770), exchanged poems and correspondences on a range of areas including object names, attires, geographies of the two countries. Yamada wanted to have Hanguel handwritings, and Nam left his handwriting for him. As Tongshinsa accommodation was tightly regulated, it was rare for a Japanese to visit there and exchanged written correspondences this much frequently.
The 『Sanghanpiluh』 cop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transcribed copy of 1764 print produced in Sangodang(尙古堂), Edo. The collection is an incredibly sophisticated transcription, and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print. Who transcribed this collection has not been confirmed yet but it indicates that Tonan Yamada’s correspondences were widely read at that time.
(rdf:langString)
(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