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terms:abstract
|
-
This anthology of poems compiled at the order of King Jungjong in 1518 contains Kim Su-on’s (金守溫) gimun (記文, travel records) on his visit to Apgujeong Pavilion and notes the magnificence of the view of the Han River from the jeongja. Travel records regarding nujeong reveal the reason or origin of their construction. Apgujeong was a jeongja built by Han Myeong-hoe (韓明澮, 1415-1587), a powerful official in King Sejo’s reign. The expression Apgu (狎鷗), literally meaning “keeping friends with gulls”, originates from an ancient Chinese proverb and contains the meaning that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befriend even distrustful animals such as gulls when they live an upright life while casting away worldly desires, as gulls approach a fisherman when he has no desire to catch them, but they do not come close when the fisherman does want to catch them. Unlike the name of the jeongja, Han Myeong-hoe, the most powerful man in his time, was deprived of his power when he sought to have the king’s awning erected in order to host a sumptuous feast to entertain a Chinese envoy. After this incident, King Seongjong ordered the demolition of all jeongja along the Han River except two built by earlier kings including Jecheonjeong Pavilion. The name of today’s Apgujeong-dong also originated from this pavilion.
(rdf:langString)
(en)
-
조선 중종13년(1518)에 왕명에 따라 신용개(申用漑), 김전(金鈿)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시문집으로, 정자에서 바라본 한강의 경치를 절경으로 꼽은 김수온(金守溫)의 압구정 기문(記文)이 수록되어 있다. 누정기(樓亭記)는 누정건립의 동기나 그 유래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압구정은 세조 때 권신인 한명회(韓明澮, 1415-1587)가 지은 정자이다. ‘압구(狎鷗)’는 갈매기와 벗하며 친하게 지낸다는 의미로 명나라 한림학사 예겸(倪謙)이 이름 지어준 것이다. 어부가 욕심이 없을 때는 갈매기가 주위에서 노닐더니 잡으려는 마음이 생기자 갈매기가 가까이 오지 않았다는 중국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세상사의 욕심을 잊고 올바르게 생활하면 의 심 많은 갈매기와도 친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당대 최고 권력자인 한명회는 정자의 이름과는 달리 중국 사신과 압구정에서 화려한 잔치를 벌이려고 국왕의 차양을 칠 것을 청하려다 실각하고 만다. 성종은 이 일을 계기로 한강변의 정자 중 제천정 등 선대왕이 지은 두 곳을 제외한 모든 정자를 헐어버리라는 명을 내리게 되었다. 현재 압구정동의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속동문선』은 23권 11책, 수록작품은 1,281편으로 『동문선』에는 신라, 고려 때의 불교관련 문헌이 풍부하게 수록된 반면 『속동문선』에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정책이 그대로 반영되어 완전히 유교문화중심으로 전환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은 편찬이 완성된 1518년에 을해자로 초인(初印)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10冊뿐인 낙질본이나, 초간본으로 추정된다.
(xsd:string)
|